| 龍飛御天歌卷第四 驪山 役徒ᄅᆞᆯ 일ᄒᆞ샤 지ᄇᆞ로 도라오시ᇙ 제 열희 ᄆᆞᅀᆞᄆᆞᆯ 하ᄂᆞᆯ히 달애시니 셔ᄫᅳᆳ 使者ᄅᆞᆯ ᄭᅥ리샤 바ᄅᆞᄅᆞᆯ 건너시ᇙ 제 二百 户ᄅᆞᆯ 어느 뉘 請ᄒᆞ니 [용비어천가04:1a] 失驪役徒 言歸于家 維十人心 天實誘他 憚亰使者 爰涉于海 維二百户 維其請爾 구든 城을 모ᄅᆞ샤 가ᇙ 길히 입더시니 셴 하나비ᄅᆞᆯ 하ᄂᆞᆯ히 브리시니 ᄭᅬ 한 도ᄌᆞᄀᆞᆯ 모ᄅᆞ샤 보리라 기드리시니 셴 할미ᄅᆞᆯ 하ᄂᆞᆯ히 보내시니 不識堅城 則迷于行 皤皤老父 天之命兮 |
---|
| 賊入亰都 君王出避 先登獻捷 車駕旋至 믈 깊고 ᄇᆡ 업건마ᄅᆞᆫ 하ᄂᆞᆯ히 命ᄒᆞ실ᄊᆡ ᄆᆞᆯ 톤 자히 건너시니ᅌᅵ다 城 높고 ᄃᆞ리 업건마ᄅᆞᆫ 하ᄂᆞᆯ히 도ᄫᆞ실ᄊᆡ ᄆᆞᆯ 톤 자히 ᄂᆞ리시니ᅌᅵ다 江之深矣 雖無舟矣 天之命矣 乘馬截流 城之高矣 雖無梯矣 天之佑矣 躍馬下馳 셔ᄫᅳᆳ 긔벼를 알ᄊᆡ ᄒᆞᄫᆞᅀᅡ 나ᅀᅡ가샤 모딘 도ᄌᆞᄀᆞᆯ 믈리시니ᅌᅵ다 [용비어천가05:31a] 스ᄀᆞᄫᆞᆳ 軍馬ᄅᆞᆯ 이길ᄊᆡ ᄒᆞᄫᆞᅀᅡ 믈리조치샤 모딘 도ᄌᆞᄀᆞᆯ 자ᄇᆞ시니ᅌᅵ다 詗此京耗 輕騎獨詣 維彼勅敵 遂能退之 克彼鄕兵 挺身陽北 維此兇賊 遂能獲之 兄이 디여 뵈니 衆賊이 좇거늘 재 ᄂᆞ려 티샤 두 갈히 것그니 ᄆᆞᄅᆞᆯ 채 텨 뵈시니 三賊이 좇ᄌᆞᆸ거늘 길 버서 쏘샤 세 사래 다 디니 克彼鄕兵 挺身陽北 維此兇賊 遂能獲之 兄이 디여 뵈니 衆賊이 좇거늘 재 ᄂᆞ려 티샤 두 갈히 것그니 ᄆᆞᄅᆞᆯ 채 텨 뵈시니 三賊이 좇ᄌᆞᆸ거늘 길 버서 쏘샤 세 사래 다 디니 兄墜而示 衆賊薄之 下阪而擊 兩刀皆缺 策馬以示 三賊逐之 避道而射 三箭皆踣 셔ᄫᅳᆯ 賊臣이 잇고 ᄒᆞᆫ 부니 天命이실ᄊᆡ ᄭᅥ딘 ᄆᆞᄅᆞᆯ 하ᄂᆞᆯ히 내시니 [용비어천가05:40a] 나라해 忠臣이 업고 ᄒᆞᄫᆞᅀᅡ 至誠이실ᄊᆡ 여린 ᄒᆞᆯᄀᆞᆯ 하ᄂᆞᆯ히 구티시니 朝有賊臣 一人有命 墮溺之馬 天使之迸 國無忠臣 獨我至誠 泥淖之地 天爲之凝 四征無敵ᄒᆞ샤 오샤ᅀᅡ 사ᄅᆞ시릴ᄊᆡ 東ᄋᆡ 니거시든 西夷 ᄇᆞ라ᅀᆞᄫᆞ니 用兵如神ᄒᆞ샤 가샤ᅀᅡ 이기시릴ᄊᆡ 西예 오나시든 東鄙 ᄇᆞ라ᅀᆞᄫᆞ니 |
---|
| 片箭一發 島夷驚畏 何敵之堅 而兵不碎 굴허ᅌᅦ ᄆᆞᄅᆞᆯ 디내샤 도ᄌᆞ기 다 도라가니 半 길 노ᄑᆡᆫᄃᆞᆯ 년기 디나리ᅌᅵᆺ가 石壁에 ᄆᆞᄅᆞᆯ 올이샤 도ᄌᆞᄀᆞᆯ 다 자ᄇᆞ시니 현 번 ᄩᅱ운ᄃᆞᆯ ᄂᆞ미 오ᄅᆞ리ᅌᅵᆺ가 深巷過馬 賊皆回去 雖半身高 誰得能度 絶壁躍馬 賊以悉獲 雖百騰奮 誰得能陟 셔ᄫᅳᆯ 도ᄌᆞ기 드러 님그미 나갯더시니 諸將之功애 獨眼이 노ᄑᆞ시니 [용비어천가06:47a] 님그미 나가려 ᄒᆞ샤 도ᄌᆞ기 셔ᄫᅳᆯ 드더니 二將之功ᄋᆞᆯ 一人이 일우시니 寇賊入京 天子出外 諸將之功 獨眼最大 君王欲去 寇賊入京 二將之功 一人克成 굴허ᅌᅦ ᄆᆞᄅᆞᆯ 디내샤 도ᄌᆞ기 다 도라가니 半 길 노ᄑᆡᆫᄃᆞᆯ 년기 디나리ᅌᅵᆺ가 石壁에 ᄆᆞᄅᆞᆯ 올이샤 도ᄌᆞᄀᆞᆯ 다 자ᄇᆞ시니 현 번 ᄩᅱ운ᄃᆞᆯ ᄂᆞ미 오ᄅᆞ리ᅌᅵᆺ가 深巷過馬 賊皆回去 雖半身高 誰得能度 絶壁躍馬 賊以悉獲 雖百騰奮 誰得能陟 셔ᄫᅳᆯ 도ᄌᆞ기 드러 님그미 나갯더시니 諸將之功애 獨眼이 노ᄑᆞ시니 님그미 나가려 ᄒᆞ샤 도ᄌᆞ기 셔ᄫᅳᆯ 드더니 二將之功ᄋᆞᆯ 一人이 일우시니 [용비어천가06:47b] 寇賊入京 天子出外 諸將之功 獨眼最大 君王欲去 寇賊入京 二將之功 一人克成 |
---|
| 龍飛御天歌卷第十 臣下ᅟᅵ 말 아니 드러 正統애 宥心ᄒᆞᆯᄊᆡ 山ᄋᆡ 草木이 軍馬ᅟᅵ ᄃᆞᄫᆡ니ᅌᅵ다 님그ᇟ 말 아니 듣ᄌᆞᄫᅡ 嫡子ㅅ긔 無禮ᄒᆞᆯᄊᆡ 셔ᄫᅳᆳ 뷘 길헤 軍馬ᅟᅵ 뵈니ᅌᅵ다 [용비어천가10:1a] 弗聽臣言 有心正統 山上草木 化爲兵衆 弗順君命 無禮嫡子 城中街陌 若塡騎士 아ᄌᆞ미를 저ᄒᆞ샤 讓兄ㄱ ᄠᅳ들 내신ᄃᆞᆯ 討賊之功ᄋᆞᆯ 눌 미르시리 朝臣을 거스르샤 讓兄ㄱ ᄠᅳᆮ 일우신ᄃᆞᆯ 定 社之 聖ᄉ긔 뉘 아니 오ᅀᆞᄫᆞ리 載畏嬸氏 讓兄意懷 討賊之功 伊誰云推 |
---|